암, 최선의 치료법은 “조기발견”입니다.
2018년 국가 암 등록 통계에 의하면 2015년 이후 신규 암 발생자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, 대한민국 국민이 기대수명 (83세)까지 생존할 경우, 암에 걸릴 확률은 37.4%에 달한다고 합니다.
특히, 위암, 대장암, 간암, 유방암, 자궁경부암은 발병 빈도가 비교적 높아, 흔히 5대 암으로 불리며, 일상 속에서 별다른 이상 증세를 느끼지 못하시더라도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
상황이 더 악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.
검진 항목 | 검진 방법 | 관련 질환 | 대상자 |
---|---|---|---|
위암 | 위내시경 또는 위장조영촬영 중 택1 | 위암, 위염, 식도염, 위궤양, 십이지장궤양 등 | 만 40세 이상 남, 여 (2년 주기) |
대장암 | 분변 잠혈반응검사 시행 후 양성 소견 시 대장이중조영촬영 검사 | 대장암, 대장용종, 대장염, 게실 등 | 만 50세 이상 남, 여(1년 주기) |
간암 | 간 초음파 검사 간 종양표지자 검사(알파피토프로테인) |
만성 간 질환 및 원발성 간암 등 | 만 40세 이상 고위험군 (6개월 주기) |
유방암 | 유방특수촬영 검사 | 유방암, 치밀유방, 유방석회화 등 | 만 40세 이상 여성 (2년 주기) |
자궁경부암 | 자궁경부세포병리검사 | 자궁경부암, 질염 등 | 만 20세 이상 여성 (2년 주기) |
우리 몸의 설계도인 DNA를 검사하여 특정 질병에 대한 개개인의 위험도 차이, 약물 효과 차이 등의 개인 특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. 검사 종류에 따라 암 11종, 일반 질환 27종, 약물반응 10종, 희귀질환 44종 등으로 구성되며, 암 가족력 또는 암에 대한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, 성인병 가족력이 있으신 분들께 추천 드립니다.
검사 의뢰서 및 동의서 작성 → 혈액 또는 구강 상피세포 채취 → 유전자 분석 → 결과 보고서 확인 → 의료진 상담
유전자 | 위험형 | 비위험형 | 당신의 유전자형 | 상대적 위험도 |
---|---|---|---|---|
CRP | T | C | TC | 1.49 |
SMAD7 | T | C | TC | 1.20 |
COLCA2 | C | A | CC | 1.22 |
GREM1 | T | C | CC | 1.00 |